최성수 기자 | 국토교통부는 ‘21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38,998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14,264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94,355천㎡(전년 대비 2.4%)이 증가한 4,056,243천㎡라고 발표하였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3,745동(45,775천㎡) 증가한 2,035,525동(1,836,074천㎡), 지방은 25,253동(48,579천㎡) 증가한 5,278,739동(2,220,168천㎡)이다.
전국 건축물 동수 및 연면적은 2~3년 전 경제상황이 반영되는 경기후행지표로, ’21년 건축물 연면적 증가율(2.4%)은 ‘18~’19년 우리나라 평균 경제성장률(2.5%)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46.4%, 1,882,918㎡), 상업용(22.1%, 894,675㎡)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용도는 문교사회용(3.7%, 13,216천㎡), 기타용(3.3%, 15,115천㎡), 공업용(2.9%, 12,127천㎡), 상업용(2.7%, 23,326천㎡), 주거용(1.7%, 30,569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교사회용의 증가는 생활SOC 예산이 2019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영향으로 볼 수 있으며, 기타용은 물류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로 창고 건축물이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
생활SOC 관련 시설의 1인당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시설은 0.61㎡, 문화 및 집회시설은 0.48㎡, 운동시설은 0.43㎡로 나타났다.
1인당 면적이 가장 큰 지역과 작은 지역을 살펴보면, 의료시설은 광주(1.06㎡), 경기(0.44㎡), 문화 및 집회시설은 제주(1.16㎡), 경기(0.37㎡), 운동시설은 강원(0.84㎡), 인천(0.27㎡)으로 나타났다.
노후 건축물 비율은 19.2%이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28.5%로 가장 높고, 세종이 7.3%로 가장 낮다.
전국 건축물 연면적은 최근 10년간 증가 추세로 동수보다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며, 가장 넓은 건축물 상위 5개는 엘지디스플레이 파주공장(848천㎡),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508천㎡), 화성동탄 물류단지(486천㎡), 스타필드 하남(459천㎡), 삼성전자 화성 공장(456천㎡)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건축물 평균 층수는 ’17년 1.86층에서 ’21년 1.92층으로 연평균 0.8% 상승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건축물은 ’17년 준공된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123층, 555m), 다음으로 부산 해운대 엘시티(’19년 준공, 랜드마크타워동 101층, 412m), 서울 여의도 파크원(’20년 준공, 69층, 318m) 순이다.
최근 10년간 건축물 동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0.8%,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연면적의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보아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 건축물 동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수도권 0.7%, 지방 0.5%로 증가폭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의 건축물 연면적도 증가 추세이나, 전년대비 수도권(2.6%), 지방(2.2%)의 증가폭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191,863천㎡(63.3%)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1,941천㎡(17.6%), 다가구주택 170,720천㎡(9.1%), 다세대주택 130,596천㎡(6.9%), 연립주택 43,476천㎡(2.3%) 순이다.
최근 5년간 동수,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 –0.2%, 2.3%로, 이는 1개 동의 규모가 작은 단독주택은 감소(-0.5%, -0.1%)하고, 규모가 큰 아파트의 증가율(2.5%, 3.3%)이 높기 때문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596,111천㎡(67.5%)로 가장 크고, 다세대주택 99,050천㎡(11.2%), 단독주택 82,952천㎡(9.4%), 다가구주택 75,050천㎡(8.5%), 연립주택 23,507천㎡(2.7%) 순이며, 지방은 아파트가 595,751천㎡(59.6%)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8,989천㎡(24.9%), 다가구주택 95,669천㎡(9.6%), 다세대주택 31,545천㎡(3.2%), 연립주택 19,968천㎡(2.0%)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4.4%), 제주(35.6%), 경북(34.6%)이 다가구주택은 대전(15.8%), 대구(13.9%), 제주(12.1%) 순으로 높으며, 아파트는 세종(84.9%), 광주(75.3%), 부산(73.0%), 연립주택은 제주(11.8%), 서울(3.3%), 강원(2.5%), 다세대주택은 서울(14.9%), 인천(12.4%), 제주(10.5%) 순이다.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81,926천㎡(31.5%)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38,381천㎡(26.6%), 업무시설 167,871천㎡(18.8%), 판매시설 65,520천㎡(7.3%), 숙박시설 53,398천㎡(6.0%) 순이다.
상업용 건축물 연면적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3.3%로 주거용(2.3%) 보다 크며, 전년대비 증감률은 업무시설(4.6%)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29,038천㎡(28.8%)로 가장 크고, 업무시설 114,824천㎡(25.6%), 제1종근린생활시설 104,580천㎡(23.3%), 판매시설 39,152천㎡(8.7%), 숙박시설 16,080천㎡(3.6%) 순이며,
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52,887천㎡(34.2%)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33,801천㎡(30.0%), 업무시설 53,046천㎡(11.9%), 숙박시설 37,318천㎡(8.4%), 판매시설 26,367천㎡(5.9%)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6%), 경북(35%), 충북(34.7%)이,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3%), 충북(38.1%), 전북(37.6%)이 높으며, 판매시설은 서울(10%), 대전(9.7%), 부산(8.3%)이, 업무시설은 서울(34.2%), 인천(22.5%), 제주(20%)가 높다.
멸실된 건축물은 주거용이 59,505동(전체 주거용 건축물 중 1.3%)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13,174동, 1.0%), 공업용(1,835동, 0.5%), 문교·사회용(918동m 0.5%)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건축물(30년 이상) 동수 비율 현황은 주거용이 49.1%이며, 상업용(29.6%), 문교·사회용(21.5%), 기타(17.8%) 순으로 나타났다.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463천동(61%), 2~4층 건축물 2,426천동(33.2%), 5층 건축물 180천동(2.5%)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1백㎡미만 건축물 3,238천동(44.3%), 1백~2백㎡미만 건축물 1,632천동(22.3%), 3백~5백㎡미만 건축물 804천동(11%)이다.
소유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699천동(77.9%), 법인 소유 건축물 541천동(7.4%), 국·공유 소유 건축물 225천동(3.1%)이다.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 대비 2.11㎡ 증가(76.44㎡→78.55㎡) 하였으며, 수도권은 1.8㎡ 증가(68.75㎡→70.56㎡)하고, 지방은 2.47㎡ 증가(84.20㎡→86.67㎡)하였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세종(41.38㎡), 충북(41.36㎡), 강원(40.86㎡)이, 상업용은 제주(28.38㎡), 강원(20.77㎡), 서울(19.25㎡) 순으로 넓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 대비 0.09% 증가한 4.04% (3,961백만㎡→4,056백만㎡)이며, 수도권은 0.37% 증가한 15.47%, 지방은 0.05% 증가한 2.51%로 확인되었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6.4%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32%), 광주(21.2%), 대전(21%) 순이다.
[뉴스출처 : 국토교통부]